공지사항

보도자료

깨끗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 문화 운동

(브레이크뉴스)화장실문화시민연대, 한국화장실문화협회 '가족화장실 관련 간담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5회 작성일 25-08-08 10:26

본문

화장실문화시민연대는 87일 보도 자료에서 화장실문화시민연대한국화장실문화협회(대표 표혜령)는 지난 8월 5일 오후2화장실문화협회 회의실에서 가족화장실 관련 간담회를 가졌다고 전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참석자는 김남진 (무장애연대 사무국장), 박형훈(서울교통공사 종합운동장역 사업소장), 신종원(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 분쟁조정 위원장), 전윤선(한국접근가능한 관광네트워크 대표), 황선옥(소비자시민모임 고문), 신민향(학생학부모교사인권보호연대 대표), 표혜령(화장실문화시민연대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가족화장실 관련 의견들을 나눴다.

 

화장실문화시민연대한국화장실문화협회(대표 표혜령)는 지난 8월 5일 오후2화장실문화협회 회의실에서 가족화장실 관련 간담회를 가졌다.  ©브레이크뉴스

아래는 참석자들은 주요 발언 내용이다.

 

김남진 (무장애연대 사무국장)=장애인용 화장실 교통약자 화장실 등 사용자와 용도를 살리고추가로 가족화장실 같은 더 다양한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화장실 조성을 추진해야 한다.

 

신종원(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 분쟁조정 위원장)=휠체어 장애인변실금 등 노약자의 기저귀 가는 공간기저귀 갈고 씻을 공간누워서 기저귀갈이 의자 등 설비와 비품이 필요하다결론적으로 장애인 화장실 노인임산부 등 유아동반 이동약자의 범위를 포괄적으로 담을 수 있는 명칭공간비품 등 감안한 공중화장실 정책으로 발전했으면 한다.

전윤선(한국접근가능 한 관광네트워크 대표)=모두를 위한 화장실(범용화장실의 우선순위를 정해서 사용하게 하자 1. 휠체어 사용자 (보장구) 2. 유아차 3.노인 등 4. 기타...의 순으로 우선은 장애인 먼저로 가야 한다.

 

황선옥(소비자시민모임 고문)=장소에 따른 시설 등이 법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픽토그램으로 표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장애인 화장실 관리에 대한 후속 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장애인 화장실을 모두가 함께하는 예쁜 이름 공모도 하면 좋을 것 같다.

신민향(학생학부모교사인권보호연대 대표)=가족화장실 이용자와 설치 목적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새로운 명칭은 여러 이용자들의 논의가 필요하고 서로의 이해가 상충되지 않아야하기 때문이다다 같이 쓰는 화장실이 필요한지특정 대상이 쓰는 화장실이 필요한지 화장실에 따라 다를 것이라 생각한다.

 

표혜령(한국화장실문화협회 대표)=참석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지금까지 공중화장실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장애인 화장실의 명칭이 어떤 곳에서는 장애인화장실다른 곳에서는 교통약자화장실또는 가족화장실다목적화장실 등등의 이름으로 표기해 놓고 사용하고 있어 관리하는 쪽에서도 어느 명칭으로 표시하는 것이 맞느냐는 문의가 있기도 하고 장애인 화장실 관련 법들이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법률과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등에서 다루고 있어서 명칭과 이름이 각각인 것으로 사용되어 있어서 앞으로 장애인단체들과 함께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화장실은 생리현상의 한 부분이기에 고민하면서 좋은 대안을 모색해보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oilet Culture Citizens' Coalition and Korea Toilet Culture Association Hold 'Family Toilet Forum'

- Reporter Park Jeong-dae

 

In a press release dated August 7th, the Toilet Culture Citizens' Coalition announced, "The Toilet Culture Citizens' Coalition and the Korea Toilet Culture Association (Representative Pyo Hye-ryeong) held a meeting on family toilets at 2:00 PM on August 5th in the Toilet Culture Association conference room."

According to the document, attendees included Kim Nam-jin (Secretary General of the Korea Disabled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Park Hyung-hoon (Director of the Seoul Metro Sports Complex Station Business Office), Shin Jong-won (Former Chairperson of the Consumer Dispute Mediation Committee of the Korea Consumer Agency), Jeon Yun-seon (CEO of the Korea Accessible Tourism Network), Hwang Seon-ok (Advisor to the Consumers' Citizens' Coalition), Shin Min-hyang (Representative of the Student, Parents, and Teachers' Human Rights Protection Coalition), and Pyo Hye-ryeong (Representative of the Toilet Culture Citizens' Coalition). They shared their opinions on family toilets.

The following are key comments from the attendees: Kim Nam-jin (Secretary General of the Korea Accessible Tourism Network) = We need to prioritize the use of accessible restrooms, including those for people with mobility impairments, and promote the creation of restrooms that cater to a wider range of user groups, such as family restrooms.

Shin Jong-won (Former Chairman of the Consumer Dispute Mediation Committee at the Korea Consumer Agency) = Facilities and equipment such as diaper changing spaces, diaper changing and washing spaces, and reclining diaper changing chairs are necessary for wheelchair users, the elderly, and those with fecal incontinence. Ultimately, I hope to develop a public restroom policy that comprehensively addresses the needs of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other mobility-impaired individuals with young children, by designating accessible restrooms, spaces, and equipment.

Jeon Yun-seon (CEO of the Korea Accessible Tourism Network) = Let's prioritize access to accessible restrooms (universal restrooms): 1. Wheelchair users (with assistive devices), 2. Pushchair users, 3. Seniors, etc., 4. Others... with accessibility first. Hwang Seon-ok (Advisor, Consumers' Association) = Facilities should be legally improved according to location, and pictograms could be a good way to mark them. Follow-up measures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accessible restrooms. A contest to come up with a beautiful name for accessible restrooms that everyone can enjoy would also be beneficial. Shin Min-hyang (Representative, Student, Parent, and Teacher Human Rights Protection Coalition) = The users of family restrooms and their purpose must be clearly defined. New names require discussion among various users and avoid conflicts of interest. Whether a shared restroom or a specific restroom is needed will depend on the restroom. Pyo Hye-ryeong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Toilet Culture Association) =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the names of the toilets for the disabled that have been used in public toilets so far are toilets for the disabled in some places, toilets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family toilets, multipurpose toilets, etc., and they are being used, so there are inquiries from management as to which name is correct, and the laws related to toilets for the disabled are dealt with in the Public Toilets Act and the Act on Promotion of Mobility Convenience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etc., so the names and names are being used separately. In the future, let's work with organizations for the disabled to find a good alternative while thinking about it, since toilets are a part of the physiological phenomenon for both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